[항암치료중단판단가이드] 두 번 이상 바꾼 항암제, 효과가 없다면 항암제 내성을 의심하세요

두 번 정도 항암제를 바꿨는데도 암이 계속 커진다면 더 이상에 항암제가 의미가 없는 것

두 번 정도 항암제를 바꿨는데도 암이 계속 커진다면 대부분 암이 약에 내성을 가진 세포들로 꽉 차 있다. 그래서 더 이상에 항암제가 의미가 없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항암치료 중단판단가이드 이번 시간에 말씀 드릴사항은 말이 조금 어렵습니다. 약제내성의 발현 여부를 확인해서 꼭 알고 계셔야 합니다.

 

약제 내성이란, 약이 듣지 않는 것

 

약제 내성이라는 것은 약이 듣지 않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아래 그림은 세포막입니다. 암세포든 정상 세포든 세포에 있는 세포막은 그냥 단순한 막이 아닙니다. 여기에는 리셉터라는 수용체도 있고, 또 아래 그림처럼 구멍이 나 있어서 대사물질, 영양소 등이 통과하는 통로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중에서 몇 가지 단백질이 관여하는 통로는 아래 그림에서처럼 혈관을 통해서 항암제가 들어가면 이 들어간 항암제를 다시 품어내는 통로가 있습니다. 상당히 적극적으로 품어내는데 P – 당단백(P glycoprotein)이라는 물질이 관여합니다.

 

이 물질이 활성화 되어 있는 통로는 자기 생명, 세포의 생존에 영향을 주는 물질들을 적극적으로 품어내는데 이 채널이 막혀있으면 항암제가 들어와서 못 나가고 세포 안에 고입니다. 그러면 이 세포는 항암제 때문에 자연히 사멸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채널이 열려 있어서 활발하게 기능하면 들어와 있는 항암제를 밖으로 다 품어 내기 때문에 항암제를 아무리 많이 줘도 세포 안에는 고여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세포는 죽지 않게 되는데 이런 기능을 가진 것을 내성이 발현됐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세포막

 

모든 암은 태생적으로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가 존재

 

이 항암제에 내성이 발현되는 것이 ‘암세포가 그런 모양으로 만들어졌다, 스스로 획득하기도 하지만 처음부터 만들어진다.’라고 말하는데 주로 암세포 1천 개에서 1백만 개, 백만 개 정도의 한 개씩은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가 이미 존재합니다.

 

암 진단이 되는 가장 초기암세포가 콩알만 한데, 그때는 암세포가 10억 개가 됩니다. 이 10억 개가 되었을 때, 그때 암이 초기 암인데 이때는 이미 통계적으로 항암제에 내성을 가진 암세포가 10개에서 10만 개가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모든 암에는 이미 태생적으로 항암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암세포가 존재한다.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 도식을 보면 붉은색 나는 것이 암 덩어리입니다.

 

다약제_내성_발현

 

암 덩어리에 붉은색, 노란색, 초록색 이렇게 여러 가지 암세포가 섞여 있는데 붉은색은 A라는 항암제에 상당히 잘 듣습니다. 예민합니다. 그래서 암이 처음 있을 때 A라는 항암제를 주면 A라는 항암제에 예민한 붉은색은 거의 다 없어집니다.

 

그러나 여기에 내성이 있는 노란색, 초록색 암세포는 계속 증식합니다. 붉은색 암세포는 다 죽고 노란색, 초록색만 차면 이제 내성이 생겼구나 하고 항암제를 B로 바꿉니다. B라는 항암제에 노란색은 예민하지만, 초록색은 내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면 B라는 항암제를 투여했을 때 붉은색과 노란색은 없어지지만, 초록색은 계속 증식하게 됩니다. 이런 상태가 반복되면 결국 암 덩어리 안에는 초록색 암세포만 꽉 차게 됩니다.

 

이럴 때 C라는 항암제를 주고, D라는 항암제를 줘도 초록색 암세포는 이미 항암제 A, B, C 등 여러 가지 약제에 내성이 있기 때문에 항암제를 계속 투여해봐야 득보다 실이 훨씬 더 많은 상황이 됩니다.

 

이럴 때 더 이상 항암제를 계속 지속하는 것은 굉장히 무의미합니다. 두 번 정도 항암제를 바꿨는데도 암이 계속 커진다면 대부분 암이 약에 내성을 가진 세포들로 꽉 차 있다. 그래서 더 이상에 항암제가 의미가 없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No comments
Write CommentLIST
WRITE COMMENT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