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석 칼럼
-
[폐암 완전정복] 폐암의 종류
폐암의 종류와 특징 우리가 말하는 폐암은 대부분 비소세포폐암에 해당합니다. 폐암의 분류: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유암종 폐암은 크게 보면 흔히 비소세포폐암, 소세포폐암, 유암종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눕니다. 폐암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비교적 치료 방법이나 예후가 비슷한 것끼리 분류한 것입니다. 비소세포폐암은 소세포폐암이 아닌 암들의 집합입니다. 우리가 말하는 폐암은 대부분 비소세포폐암에 해당합니다. 소세포폐암은 암세포 자체가 작습니다. […]
-
[폐암 완전정복] 폐암의 발생률과 생존률
매우 공격적인 폐암, 조기라도 방심할 수 없어 조기암이라도 50% 이상이 재발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치료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예후가 아주 나쁜, 악질인 암 중에 대표적인 암이 췌장암과 간암입니다. 간암은 색전술 등 여러 가지 치료법으로 생존율이 많이 향상되었습니다. 폐암은 췌장암과 거의 비슷할 정도로 치료 성적이 좋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다양한 방법이 많이 […]
-
[췌장암 완전정복] 췌장암 환자들이 꼭 기억해야 할 사항
췌장암 환자라면 이것만은 꼭 기억해야 항암제로 못 잡는 미세암을 잡는 온열치료, 면역치료, 면역관리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췌장암에 대해서 장황하고 복잡하게 많은 이야기를 했습니다. 췌장암에 대해 요약한다면 췌장암 환자분이 꼭 기억해야 할 사항들, 특히 초기 췌장암 환자들이 꼭 기억해야 할 사항을 요약해보겠습니다. 췌장암 1기도 안심할 수 없어 첫 번째, 췌장암 1기에서도 안심할 수 없다는 걸 […]
-
[췌장암 완전정복] 췌장암 수술 후 꼭 알아야 할 식사법 2
췌장암 수술 후에 도움이 되는 식이요법 2 췌장암 수술 후에 식이요법에 적응하기 힘드신 분은 음식 일기를 쓰시면 좋습니다. 섬유질 섭취를 위해 채소 갈아먹기, 익히지 않은 음식 피하기 췌장암 수술 후에도 섬유질 섭취는 해야 합니다. 하지만 섬유질은 질기기 때문에 좋지 않습니다. 이때는 채소를 믹서로 갈아서 간 채소를 만듭니다. 간 채소를 넣고 죽을 쑤면 섬유질 섭취가 […]
-
[췌장암 완전정복] 췌장암 수술 후 꼭 알아야 할 식사법 1
췌장암 수술 후에 도움이 되는 식이요법 1 수술 후에 위가 작아졌기 때문에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췌장암 수술을 하면 대개 췌장 효소를 처방받습니다. 이 췌장 효소는 식사할 때, 식사 전이나 식사 중간, 간식을 먹을 때도 꼭 정량을 챙겨 드셔야 합니다. 고형식은 피하고 수분이 적은 유동식하기 두 번째로 처음 두 달 정도는 […]
-
[췌장암 완전정복] 췌장암 치료를 위한 휘플 수술 알아보기
휘플 수술하면 소화기관에 많은 변화 생긴다 휘플 수술은 위, 췌장, 담도를 다 건드리는 광범위 수술입니다. 췌장암은 치료하기 어렵습니다. 조기에 발견해서 수술한다 해도 수술이 상당히 어렵고 광범위합니다. 췌장암 치료를 위해 하는 수술을 ‘휘플 수술’이라고 합니다. 당시에 치료를 고안한 의사 이름을 딴 겁니다. 휘플 수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루에 분비되는 소화액 7000cc 정도로 많아 식도를 거쳐서 […]
-
[췌장암 완전정복] 췌장암 수술 후 겪게 되는 증상들
췌장암 수술 후 겪게 되는 대표적인 증상 5가지 췌장암 수술 후에는 이러한 증상을 자주 겪게 된다는 것을 기억해주십시오. 췌장암 환자가 휘플 수술 후에 어떤 증상을 경험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증상 1. 식후 팽만감과 구역질 첫 번째는 식후 팽만감과 구역질입니다. 음식을 먹고 나면 음식이 명치 밑에 고이는 증상으로 흔히 체했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위의 기능이 많이 떨어졌기 […]
-
[췌장암 완전정복] 췌장암의 치료 3, 방사선 치료 방법과 오해
방사선치료 횟수와 방사선의 강도는 직접적 관계없어 치료를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할 때는 치료 횟수가 많아집니다. 그러나 횟수가 많다고 많은 양의 방사선에 노출된 것은 아닙니다. 항암치료는 주사를 맞거나 경구로 복용하는 방법을 씁니다. 환우들에게 항암치료 방법 자체가 낯설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방사선치료는 조금 낯섭니다. 그리고 처음 방사선치료를 시작하면 조금 복잡한 준비 과정을 거칩니다. 이 준비 단계를 시뮬레이션이라고 부르는데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