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석 원장 인터뷰4] 미국에서 말기 암에 효과적인 치료법 인정받다

 

Q. 97년 미국으로 가셔서 10년 간 암연구를 하셨는데요. 갑자기 연구자가 되신 이유와 연구 결과는 무엇입니까?

 

그 다음 날 아침에 출근해 보니 정말 제가 환자들한테서 관찰했던 것과 똑같이, 말기암의 중심부가 하루 사이에 괴사가 되는 그런 현상을 관찰했습니다.

 

정말 너무너무 기뻐서 바로 그 쥐를 들고 연구실 책임자에게 쫓아가서 그의 책상 위에 그 쥐를 놓고 ‘보세요!! 이걸 보세요!!’라고 했습니다. 책임자도 보고 정말 기가 막혀 했습니다. 도저히 상상할 수 없이 큰 암의 중심부가 하루아침에 괴사한 현상이 나와서 연구소가 아주 떠들썩했습니다.

 

캐나다 밴쿠버 학회 발표로 극찬받은 연구논문

 

그때부터 연구가 아주 쉽게 진행됐고 그것을 연구해서 기전을 밝힌 것이 ‘암 혈관 파열 인자’입니다. 다른 신체 장기의 혈관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큰 암의 중심 혈관만 파괴하는 아주 독특한 작용이 있는 것을 발견해서 최고의 암 연구 권위지인 <캔서리서치>에 발표했습니다.

 

그 이후 항암제, 방사선과 그 비소를 같이 썼더니 치료의 상승효과가 있었고, 그것으로 캐나다 밴쿠버에서 학회에 발표해서 정말 극적인 찬사를 받았습니다. 그 연구를 바탕으로 해서 미국에서 국립암센터가 국립보건원의 연구비를 받아서 미국 암센터 7개가 컨소시엄을 이루는 공동연구와 임상연구가 뇌암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그 연구가 임상시험이 시작되는 것을 보고 연구자로서 제가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정리하고 다시 국내에 들어왔습니다.

 

과학은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들을 증명해 내려고 노력하는 것

 

제가 이런 현상들을 보고 느낀 것이 있습니다. 절대로 교과서에 나오는 그런 것들만이 전부가 아니고 우리 일반인들이 보고, 느끼고, 경험하고 하는 것들이 과학 이상의 근거가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연구라는 것, 과학이라는 것이 다른 사람이 한 연구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증명해 내려고 노력하는 그것이 바로 과학이라는 것입니다. 한국 의료계가 너무 폐쇄적이고, 교과서 중심에 종속적인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함께 대체요법을 연구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소망

 

제가 대체요법을 그렇게 고집하는 것도 이런 사연 때문입니다. 표준치료 이외의 치료들도 항암효과가 분명히 있습니다. 그것을 무시하면 안 되고 저처럼 암을 많이 아는 사람들이 그것을 함께 연구해서 발전시키는 것이 저에 소망이고 또한 사명감이란 생각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No comments
Write CommentLIST
WRITE COMMENT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