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석TV
-
재발 방지를 위한 음식 관리 방법을 알려주세요 / 특강 하이라이트
식이요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성’ 얼마나 균형 잡힌 식사를 꾸준하게 하느냐? 이것이 중요합니다. Q. 항암치료 후 관리 중 식이요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미국에 계신 2020년 2월 완치 판정받은 HER2 2기초 환자입니다. 모든 치료를 마치고 운동과 식단을 관리하는데 음식 관리 방법을 가르쳐주면 좋겠다고 질문해주셨습니다. 식이요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성입니다. 얼마나 오랫동안 꾸준하게 지속할 수 […]
-
암 예방 수칙이 암 전이, 재발을 방지하는 수칙입니다
암 투병 시에도 지켜야 하는 ‘암 예방 수칙’ 암 예방 수칙, 암 투병에서 그대로 적용하시면 재발 및 전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인터넷이나 자료를 찾으면 ‘암 예방법’에 대한 수칙이 많이 나옵니다. 그러나 ‘암 재발, 전이 방지’에 대한 수칙은 별로 없습니다. 병원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학병원이나 암 센터에서 주는 정보를 보면 암 예방에 대한 수칙은 정리가 […]
-
2단계 잔존 암세포 처리하기, 항암치료 활용하기 / 암 치료 전략 3단계
잔존 암세포 처리에 효과적인 ‘비표준적 암 치료’ 항암 효과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는 수단이 무엇인가? 부작용으로부터 내 몸을 최대한 보호할 수단이 무엇인가? 선택하여 집중적인 치료를 받으십시오. 암 치료 전략 3단계 중 제1단계 “암세포 최대한 줄이기”를 지난번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암 치료 제2단계 “잔존 암세포 처리하기”입니다. 잔존 암세포를 어떻게 최대한 없애느냐에 관한 내용입니다. 항암 화학 […]
-
항암치료도 완벽하게 받았는데, 재발이라고?! / 특강 하이라이트
항암치료해도 재발하는 이유 항암제는 암세포만 골라서 죽이는 약이 아닙니다. 항암제 효과가 제한적인 이유 항암치료도 완벽하게 받았는데, 왜 또 재발이야? 치료 잘못한 것 아니야? 약 잘못 쓴 것 아니야? 이런 생각을 당연히 하게 되겠죠. 항암제 효과가 제한적인 이유를 아셔야 합니다. 항암제가 암세포를 골라서 없애는 약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항암제는 암세포를 골라서 죽이는 […]
-
한정된 생체 에너지, 암 치료에는 ‘영끌’하지 마세요
에너지 영끌, 암을 악화시키는 나쁜 습관! 암 치료에 기진맥진할 정도로 ‘영끌’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피해야겠습니다. 에너지 영끌, 한곳에 쏠리는 생체 에너지 요즘 ‘영끌’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합니다. 영끌이란, 영혼까지 끌어모은다는 뜻입니다. 어떤 면에서는 최선을 다한다, 할 수 있는 일을 다 하겠다는 좋은 뜻으로 해석할 수 있겠죠. 저는 영끌이라는 단어를 보고 ‘우리 암 환우분들이 영끌하는 […]
-
1단계 암세포 최대한 줄이기, 암 수술 후 공백기 / 암 치료 전략 3단계
암 수술 후 공백기를 메우는 면역 세포 치료 암세포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 수술과 방사선 치료 암 수술 후 공백기가 생기는데 그 부분을 보완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암 치료 전략 제1단계, 암세포 줄이기 암 치료 전략 3단계입니다. 우리가 일반 전쟁할 때 상대방의 주력부대를 최대한 선별해야 합니다. 그다음에 잔존 병들을 처리합니다. 마지막으로 뒷마무리를 잘해서 잔당들이 지하로 […]
-
매력적인 자연치료, 한계를 인식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암 치료 효율을 끌어올리는 통합 치료 표준치료와 자연치료를 잘 조합하여서 암 치료 효율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것이 가장 유용한 전략일 거로 생각합니다. 표준치료의 빈자리를 메우는 자연치료 암 환우분들은 자연치료에 대해서 매력을 크게 느끼고, 유혹도 많이 받습니다. 표준치료의 결과가 불명확하고 워낙 거칠고 공격적인 치료라서 두렵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은 어떤 치료든 […]
-
유행에 올인하지 마세요, 암 치료도 유행이 있습니다
표준치료 외 기타 치료, 올바른 판단 중요! 기타 치료에서 가장 좋은 판단기준은 “그 치료가 얼마나 오래됐느냐?”입니다. 근거 중심, 객관성이 확보된 표준치료 암 치료에도 유행이 있습니다. 유행처럼 왔다가 사라지는 치료도 있고, 계속 유지되는 치료도 있습니다. 대학병원에서 하는 표준치료도 유행이 있습니다. 1970~1990년대까지는 세포독성항암제, 그 이후에 표적 치료가 암 치료 논문의 3분의 2를 차지할 정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