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석TV
-
표적치료의 이해 2 – 표적치료의 과거, 현재, 미래
다양한 유전자 변이 양상에 대응 가능한 표적치료 나올 것 미래에는 정말 환자 개개인에 꼭 맞는 표적치료제가 무엇인지 판명이 가능해질 겁니다. 환자 개개인에 맞는 적절한 맞춤치료를 할 수 있는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암세포는 끊임없이 성장을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암세포의 성장신호를 차단하는 약물을 표적치료제라고 합니다. 다양한 세포변이 가진 암세포 특성 과거에는 한 […]
-
표적치료의 이해 1 – 표적치료의 원리
세포 표면 수용체에 작용하는 표적치료제 표적치료제는 표적을 추적하여 파괴하는 항암제입니다. 그러니까 암세포를 찾아다니면서 없애는 항암제인 것입니다. 폐암 치료에 사용되는 표적치료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세포 수용체와 신호전달 물질 표적치료는 10-15년 전쯤 처음 나왔습니다. 표적치료는 다른 암에 비해 폐암 치료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표적치료제는 항상 일반 항암치료에 쓰이는 세포독성항암제와 많이 비교됩니다. 그런데 실제로 둘의 차이점은 […]
-
세포구조와 수용체, 그리고 신호전달시스템
표면에 있는 수용체에 신호전달물질이 작용해야 세포 기능 작동되는 것 세포는 상호교신을 해서 우리 기능을 자기 고유의 기능을 유지합니다. 신호전달물질이 수용체에 가 닿으면, 그 신호가 세포 속으로 전달되는 것입니다. 지금의 암치료는 표적치료, 면역항암제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 치료제들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포 수용체와 신호전달시스템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세포는 신호 수신 위해 수용체 가지고 있어 […]
-
미세암과 구분이 필요한 암이 아닌 암, 잠재암
잠재암, 아직은 병이 되지 않은 상태의 잠재적인 암 잠재암이란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지금은 암이 아니지만, 암이 될 가능성이 높은 암입니다. 잠재암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미세암, 잠복암, 잠재암의 차이를 알아야 제가 영상이나 칼럼에서 잔존암, 미세암 같은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런데 잠재암이라는 말을 갑자기 사용하면 혼란을 느끼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 용어 정리를 먼저 […]
-
폐암 조기 발견에 도움되는, 저선량 흉부 단층 촬영
방사선 피폭 크지 않으면서도 폐암 조기 발견에 유용해 폐암 조기 발견을 위해 저선량 흉부 단층 촬영을 적극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원인 모를 기침이 지속되거나, 감기가 잘 안 낫는 환우들이라면 반드시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선량 흉부 단층 촬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암 발견 쉽지만 방사선 피폭량 큰 CT 촬영 단층 촬영이라는 단어 앞에 저선량이라는 […]
-
폐암 조기 발견에 도움되는, 저선량 흉부 단층 촬영
방사선 피폭 크지 않으면서도 폐암 조기 발견에 유용해 폐암 조기 발견을 위해 저선량 흉부 단층 촬영을 적극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원인 모를 기침이 지속되거나, 감기가 잘 안 낫는 환우들이라면 반드시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는 저선량 흉부 단층 촬영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암 발견 쉽지만 방사선 피폭량 큰 CT 촬영 단층 촬영이라는 단어 앞에 저선량이라는 말이 […]
-
[폐암 완전정복] 폐암의 항암치료 2
유지요법과 항암제의 부작용들 두 종류 항암제를 길게 사용하면 환자 체력이 견디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암의 기세를 꺾은 후에는 유지요법을 사용합니다. 암이 많이 진행된 경우에는 항암치료 방식이 조금 달라집니다. 완치는 어렵지만 암과 동행해야 할 때입니다. 환자 체력 저하나 내성 발현 시의 항암치료 처음에는 두 가지 항암제를 4~6 사이클 사용합니다. 그 이후에는 유지요법을 씁니다. 두 […]
-
[폐암 완전정복] 폐암의 항암치료 1
항암제 두 종류 사용하는 항암치료가 가장 일반적 대장암이나 위암 같은 소화기 암에는 4종류까지 항암제가 동시에 투여되는 프로토콜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폐암에는 2종류 항암제 복합이 원칙입니다. 폐암 치료에 있어서도 항암치료가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항암제 사용 시기와 목적에 따른 분류 항암제 사용 방법에 따라 항암치료를 나눠볼 수 있는데요. 우선 선행보조항암치료(선행보조화학치료)입니다. 암 크기가 커서 수술 전에 항암치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