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석TV
-
암 환자도 인슐린을 관리해야 한다?
혈당 높을수록 암세포 활동이 활발해져 암 환자들도 항상 혈당을 체크하여 공복혈당이 100이 넘지 않도록 유지하십시오. 식후 혈당은 140을 넘기지 않도록 하십시오. 이것만 잘 지켜도 암세포의 활동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요즘 제가 암 환자분들한테 인슐린을 관리하라고 말하면 환자들이 어리둥절해 합니다. 당뇨 환자도 아닌데 인슐린을 왜 관리해야 하나, 이렇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암 환자들과 인슐린의 관계를 […]
-
이미 전이된 암이 있는 암 환자도 전이 방지 조치가 필요
암 전이는 계속해서 일어나는 것, 생활치료로 전이 방지에 적극적으로 힘써야 이미 전이를 겪은 암 환자라 할지라도 전이 방지를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치료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새로운 전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식이요법, 생활치료, 면역치료를 하면서 노력해야 합니다. 전이에 대한 질문을 주셨습니다. ‘이미 암의 전이가 있는 환자도 또 다른 전이를 걱정해야 하는가?’ 예를 들어 장에 […]
-
암 치료, 맡길 일은 맡기고, 생각은 단순하게, 행동이 중요
내 상황에 맞는 생활치료부터 간단하게 시작해나가길 행동 없이 걱정만 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습니다. 걱정을 너무 많이 하면 내 생체에너지가 걱정에 모두 다 사용됩니다. 그래서 정작 암과 싸울 에너지가 고갈됩니다. 암 환자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암 치료에 대응하는 방식들이 참 다양합니다. 환자가 해야 할 결정만 신경 쓰자 어떤 분들은 매우 저돌적으로 행동합니다. 인터넷에서 본 […]
-
암의 전이는 언제부터 일어나는가?
암 진단 받았다면 이미 전이가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해야 조기에 진단되었다고 해서 안심해서는 안 됩니다. 암 진단을 받았다면 이미 미세전이암이 존재할 확률이 75%나 됩니다. 0기 환자들도 반드시 대학병원 치료 외의 방법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암 전이가 언제부터 일어나는지 궁금해 합니다. 암 치료에 있어서 전이는 굉장히 무서운 부분입니다. 가장 큰 복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정부에서 […]
-
암 치료에 멍청한 인공지능 의사 왓슨?, 활용도가 달라
닥터 왓슨, 어려운 결정 앞에서 대안 제시해주는 역할로 활용 가능 닥터 왓슨의 의견이 의료진과 56%밖에 일치하지 않다고 해서 단번에 ‘멍청하다’고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의견일치가 잘 안 되기 때문에 활용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닥터 왓슨을 포함한 모든 치료옵션, 무기는 우리가 적절하게 사용하면 된다는 뜻입니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알파고 등장 이후 인공지능에 […]
-
수술이 암의 재발에 어떤 영향을 줄까?
수술 후 미세암 관리, 재발 막는 결정적 역할 수술 이후 미세암 관리는 재발에 매우 커다란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므로 수술 후 회복기간에 제대로 대처를 해야 합니다. 면역치료, 온열치료 같은 것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서 미세암을 관리해주어야 합니다. 암 환자분들이 매우 큰 의문을 가지는 점 중 하나가 바로 수술입니다. 과연 수술이 암의 재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의문을 갖는 경우가 […]
-
암 치료 식이요법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점
채소는 뿌리 위주로, 지나친 과일 섭취는 금물 장기간 잎채소만 많이 먹다 보면 영양실조가 생깁니다. 채식을 하려면 뿌리, 곡류, 열매 위주로 먹어야 합니다. 또 과일을 지나치게 많이 드시지 마십시오. 식이요법이 암 치료 상담에서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많은 환자분들이 고기를 먹는 것이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채식이 좋다는 것은 압니다. 그런데 상담을 하다 보니 환자들이 놓치는 […]
-
암의 원인이 되는 현대인의 영양 불균형, 왜 생기나?
나쁜 식재료와 잘못된 식습관이 불러오는 미네랄 불균형 암 환우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식이요법입니다. 올바른 식이요법을 철저하게 실천하면 미네랄 불균형은 자연히 해결됩니다. 미네랄 불균형은 잘못된 식습관과 생활습관으로 인해 기초가 깨지는 문제입니다. 진짜 음식을 먹으면 미네랄 불균형은 저절로 없어집니다. 현대인은 영양 불균형이 심합니다. 그로 인해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성인병, 현대병은 물론 암이 생기게 되는데요. 영양 불균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