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영석TV
-
맞춤형 암치료, 암과 환자 중 기준은 어디에
환자의 체력이나 삶의 질까지 고려하는 맞춤형 치료를 해야 암이 아닌 환자에 중점을 두는 치료가 진정한 의미의 맞춤형 치료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맞춤형 암치료’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됩니다. 대학병원마다 맞춤형 암치료를 한다고 하는데요. 맞춤형 치료라는 것이 실제 환자들이 상상하는 것과는 조금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표준치료는 암을 제거하는 데에만 집중 맞춤형 암치료란 무엇에 초점을 […]
-
전략적 관점으로 보는 암 환자의 분류 – 국한암(Localized Cancer)
완치 가능성 높다고 마음 놓지 말고 표준치료와 생활치료 열심히 해야 암이 초기에 발견된 경우 환자들이 지나치게 안심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뒷마무리를 게을리하기가 쉽습니다. 지난 시간에 암 환자를 분류하는 개념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기존처럼 병기에 따라 분류하는 것보다 임상 일선에서 더 유용한 방법이라고 설명 드렸는데요. 첫 번째가 바로 국한암(Localized cancer)입니다. 수술만 하고 방치하는 환자들 많아 […]
-
전략적 관점으로 보는 암 환자의 분류
국한암, 국소진행암, 원격전이암 개념으로 바라보기 암 관련 통계가 점차 국한암, 국소진행암, 원격전이암 개념을 바탕으로 잡혀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물론 미국국립암센터도 이 분류방법을 사용합니다. 요즘 인터넷에서 암 관련 통계 검색을 많이 하실 겁니다. 국가암정보센터에 들어가서 통계를 찾아보면 암 발병률, 5년 생존율 등 관련 자료가 많습니다. 암이 원발 장기에 국한되어 있거나 주변부에 머무른 상태 과거에는 암 […]
-
여러분의 암 투병에 도움이 되었다니 힘이 납니다
상담과 글을 통해 도움받는 환자들에게 감사한 마음 저의 블로그나 상담으로 암 치료 방향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환자들 덕분에 큰 힘을 얻습니다. 아주 고마운 환자 한 분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유방암 4기 환자와의 상담 사례 이 환자는 유방암 4기 진단을 받은 분입니다. 2016년에 진단을 받았는데요. 당시 불행하게도 이미 임파선과 척추에 전이가 된 상태였습니다. 이분은 임상시험에 참여를 […]
-
폐암 초기인데 고용량 비타민C로 좋아질까요?
항암치료에 도움 되는 보조제로 활용하길 고용량 비타민C는 항암제가 아닙니다. 기타 식이요법도 항암제가 아닙니다. 암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는 보조치료일 뿐입니다. 비타민C에 대한 질문입니다. 요즘 암 치료 상담을 해보면 비타민C에 대해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 질문 중에 ‘폐암 초기에 고용량 비타민C가 효과가 있을까요?’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비타민C는 항암제가 아니다 비타민뿐 아니라 기타 여러 가지 식품에 […]
-
초기 유방암 환자가 불필요한 항암치료를 피하는 방법
유전자 검사로 항암치료 필요한지 미리 알아보길 불필요한 항암치료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방암 환자라면 유전자 발현 검사를 통해 항암치료 필요 여부를 꼭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초기 유방암 환자가 불필요한 항암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항암치료 안 해도 경과 달라지지 않는 환자들 존재 다른 암도 마찬가지이지만, 유방암도 아주 초기 이외에는 진단 후 수술을 받고 나면 대부분 […]
-
항암치료 중 녹즙을 먹어도 되나요?
백혈구 수치 크게 떨어진 기간 제외하면 녹즙 먹어도 괜찮아 항암제를 맞으면 일주일에서 열흘 사이에 백혈구 수치가 가장 크게 떨어집니다. 그 기간에는 녹즙을 피하는 게 좋겠습니다. 그 이후에는 드셔도 크게 무리가 없겠습니다. 녹즙도 환우들이 상당히 혼란스러워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녹즙은 날 음식이라고 보기 어려워 상담을 할 때 ‘녹즙을 마셔도 됩니까?’라는 질문을 많이 받습니다. 대부분 […]
-
수면제가 암 치료 방해요인은 아니다
잠 잘 자고 면역기능 유지하는 것이 훨씬 중요해 수면제는 암 치료에 있어 방해요인이 아닙니다. 오히려 잠을 푹 잠으로써 다음날 상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면역기능 유지에도 도움이 됩니다. 수면제는 암 치료에 있어 방해요인이 아닙니다. 최근에 아주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나왔습니다. 수면제가 암 발병률을 높인다는 기사였습니다. 수면제가 암 발병률을 30% 정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학술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