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_yc (3)

    65세 이상 노인 폐암 급증 이유

    흡연과 환경오염에 많이 노출되었던 세대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해야 폐는 공기가 늘 들락날락하는 곳입니다. 환경오염에 과다하게 노출되는 장기입니다. 또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되지 않습니다. 암 통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암 치료나 예방에 대해 얻는 교훈들이 참 많습니다. 위암보다 훨씬 많은 65세 이상 폐암 발병률 최근의 통계를 보면 65세 이상 환자만 대상으로 암 발병률을 따졌을 […]

  • 3_yc (3)

    유방암 콩이 문제가 아니다

    문제 소지 있는 것은 콩 ‘추출물’, 자연 콩은 안심하고 많이 드시길 어떠한 역학조사를 보아도 콩이 유방암 발생을 조장하거나 재발을 촉진한다는 통계는 없습니다. 오히려 콩이 유방암 재발을 줄인다는 논문들이 많습니다. 유방암 환자들이 가장 많이 보편적으로 걱정하는 문제가 ‘콩을 먹어, 말아?’ 하는 겁니다. 실제로 콩과 유방암에 대한 부정적인 얘기들이 아직도 인터넷에 많이 떠돌고 있습니다. 콩이 유방암 […]

  • 2_yc (2)

    유방암 에스트로젠 호르몬 수용체란 무엇인가?

    수용체란 세포의 특정 기능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수용체는 정상세포와 암세포에 모두 존재해 호르몬 수용체에 호르몬이 가서 붙으면 스위치가 켜져서 세포 안에서 생화학반응이 일어납니다. 수용체에서 호르몬이 떨어져 나가면 작용이 중단되고, 수용체가 붙으면 작동합니다. 특히 유방암인 경우에 호르몬 수용체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그런데 수용체라는 게 뭔지, 호르몬 수용체가 뭔지, 이게 일반인들로서는 조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있다고 생각됩니다. […]

  • 1_yc (1)

    유방암에 나쁜 콩이 따로 있나요?

    자연 상태가 아닌 가공된 콩 제품은 절대 섭취하지 말자 가공된 콩, 고단위로 단백만 추출한 콩 추출물은 건강에 해롭습니다. 가공된 콩 제품은 적극적으로 피해야 합니다. 콩 자체는 유방암 증가와 관계가 없습니다. 이소플라본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하게 작용한다, 그러니 유방암 증가와 관계가 있다, 이런 논리가 주장되지만 콩과 유방암 증가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모든 콩 제품이 다 똑같은가?’ 뒤따라 […]

  • 슈퍼푸드 천년만년의 비밀 ‘몸속 염증 잡는 슈퍼푸드의 비밀!’ 편에 출연하였습니다_ 류영석 원장

    오늘 아침 방송된 TV 조선 슈퍼푸드의 비밀 천년만년 ‘몸속 염증 잡는 슈퍼푸드의 비밀!편에 출연하였습니다. 저는 암과 염증 관련하여 인터뷰이로 참여하셨습니다. 암과 염증환경은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이번 방송이 염증환경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암과 염증 칼럼 더보기 슈퍼푸드 천년만년 바로가기 암과 염증 칼럼 더보기

  • 3_yc (3)

    콩이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키는가?

    콩, 유방암 증가시키지 않을뿐더러 오히려 건강에 도움 되는 식품 콩은 유방암을 절대 증가시키지 않습니다. 콩에는 이소플라본뿐 아니라 다른 여러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마음 놓고 드셔도 됩니다. 콩이 간혹 암 환우들에게 많은 혼돈을 일으킵니다. 콩에는 인체 건강 유지에 좋은 성분 많아 실험에 의하면 콩의 혈관신생 억제작용이 항암제를 능가하거나 항암제 수준에 육박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

  • 2_yc (1)

    항암 칵테일 치료가 있다는데, 무엇인가요?

    혈관신생 억제작용 하는 항암 칵테일 요법, 암 치료 보조요법으로 적극적으로 병행하길 주변에 암에 좋다는 건강식품을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런데 건강식품보다는 항암작용이 있는 약을 먹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입니다. 항암 칵테일 요법이라는 것이 미국에서 상당히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항암 칵테일 요법이란, 항암제는 아닌데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여러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법입니다. 아스피린, 신경통약, 위장약 등 약물, […]

  • 1_yc (3)

    암 관련 식이요법이 과연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요?

    식이요법은 암의 성장과 전이에 여러모로 영향을 미치는 훌륭한 보조치료 음식은 항암제에 버금가는 혈관신생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두 추출물, 딸기류, 마늘 등의 식품은 항암제와 비슷한 수준의 혈관신생 억제 지표를 나타냅니다. 식이요법의 과학적 근거를 이야기하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암 성장에는 매우 여러 가지 기전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어떤 것 하나만 딱 집어서 어떻다고 정의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

위로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