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로 검색된 글이 116개 있습니다.
-
위암 2기 5년 생존율, 동양(80%)과 서양(35%)이 다른 이유
동양 80%, 서양 34% 위암 2기 생존율의 차이는 식생활습관의 차이 서양식 식사, 생활습관이 암 체질이 된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리라고 생각합니다. 암 환자의 식이요법은 매우 중요합니다. 통계정리를 하다 보면 위암 2기에 아주 흥미로운 통계가 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동양의 위암 2기 환자의 5년 생존율은 80%에 가깝습니다. 그런데 똑같은 병기에 있는 미국 암 환자들의 5년 생존율은 34%입니다. 80%와 34%의 […]
-
조기 위암 내시경 수술 후 미세잔존암에 주의하세요
미세잔존암 관리를 위해 식이요법, 생활습관 관리, 정기검진이 반드시 필요 위암, 내시경 수술로 치료가 쉽다고 방심해서 고쳐지지 않는 생활습관이 문제입니다. 위내시경을 상당히 많이들 합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도 정기적인 건강검진에 위내시경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조기 위암의 발견율이 상당히 올라갔습니다. 지금은 치료기술이 많이 좋아져서 위암 0기, 조기 위암에 내시경적 수술을 하는 경우가 아주 많이 늘어났습니다. 조기 위암으로 판단됐어도 […]
-
골반암, 복막암으로 전이가 쉬운 반지세포위암 치료의 핵심
반지세포는 미세잔존암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반지세포는 항암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전이가 잘되며 불치암으로 알려진 크루켄버그(Krukenburg`s tumor)암도 일으킵니다. 위암 치료에서 특별히 환우 여러분께서 신경 써야 하는 암중에 하나가 반지세포위암입니다. 암세포의 모양이 반지 모양과 비슷한 반지세포 반지세포위암은 암세포의 모양이 조금 특별납니다. 도장을 새긴 반지의 모양하고 비슷해서 반지세포라고 일반적으로 얘기하고 영어로는 Signet ring cell이라고 얘기합니다. […]
-
[류영석의 암치료가이드] 위암의 원인은 헬리코박터균이 아니다
헬리코박터는 위암의 발생원인 가운데 하나일 뿐 위암은 헬리코박터 감염과 염장식품 등을 즐겨 먹는 식사습관, 음주나 흡연 등의 생활습관, 그리고 면역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바르지 못한 식생활 습관과 만났을 때 위암으로 발병하는 것입니다. 위암에 발생 원인 가운데 헬리코박터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헬리코박터라는 세균은 발견된 역사도 참 재미있고, 상당히 흥미로운 이슈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
-
현대의학만 고집했던 위암 3기 환자, 통합치료를 받았더라면 – 2
고주파 온열치료, 면역치료, 영양요법 등 미세잔존 암에 통합적 암 치료 필요 현대의학에서 미세잔존 암이나 통합적 암 치료에 대한 개념을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통합적 암 치료 처음부터 꼭 필요합니다. 어느 날 환자가 먹지를 못하고 계속 토합니다. 복막에 전이가 가있고 복수도 차고 장폐쇄가 왔습니다. 계속 먹지를 못하니 의사에게 방법을 구해달라고 남편이 사정 하니까 우선 일시적으로 장루를 […]
-
현대의학만 고집했던 위암 3기 환자, 통합치료를 받았더라면 – 1
위암 3기에 암을 발견한 젊은 여성 수술과 항암치료 등 병원에서 하라는 대로 성실히 치료했지만 종양은 점점 번져만 갔습니다. 오늘은 참 안타까운 얘기를 한 가지 하겠습니다. 제가 2주 전에 젊은 여성 위암 환자를 진료했었습니다. 그런데 그분이 돌아가셨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저한테 다녀가시고 일주일 후에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저는 그 환자를 보면서 정말 안타까움을 느끼지 않을 수 […]
-
암 치료가 복잡하고 어려운 이유 / 방송 하이라이트
끊임없이 증식하며 세포 변이가 일어나는 암 나한테 생긴 암이니까 암세포의 성질이 동일할 거로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암 덩어리는 다양한 세포 군집 암은 multi-clonal disease입니다. 클론(clone)은 세포 복제를 말합니다. 동일 클론이라고 한다면 똑같은 성질, 유전자의 복제겠죠. 그러나 멀티라는 것은 여러 가지 성질이 나타난다는 뜻입니다. 즉, 암 덩어리는 다양한 자손을 가지고 있다고 […]
-
림프절 전이가 중요한 이유 / 암 치료 중 많이 듣는 말 림프절 전이 2
림프절 전이, 수술 범위 결정과 암 예후의 매우 중요한 지표 림프절 전이가 있는지 없는지, 림프절 전이가 있다면 얼마나 많이 되었는지가 중요합니다. 완두콩 모양의 림프절 림프 순환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림프절입니다. 우리 몸에 림프가 혈관처럼 촘촘히 분포해 있지만, 중간에 완두콩 같은 림프절이 수도 없이 많습니다. 우리 몸에는 600~700개 정도의 림프절이 있습니다. 림프절의 특징은 […]
-
류영석의 LIVE 암 치료 전략 상담 #간암표지자검사 #암수치상승 #담도암 #내성의심판독#림프종관리면역치료 #대장암전이재발 #유방암4기 #삼중음성유방암 #신경침윤
05:35 간암수술 후 3개월 후 재발되어서 색전시술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지 3개월 됐습니다. 그런데 한 달 전 혈액검사, 간암 표지자검사에서 수치가 10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29로 올랐습니다. 12:23 밤마다 잠이 잘 안 옵니다. 암 환자는 일찍 자야 한다는데, 몇 시쯤 자면 좋을까요? 저는 1-2시쯤 잠이 들어요. 15:31 1기 수술 후 식이요법, 운동, 마음 관리는 잘하고있는데요 추가로 고용량 […]
-
[폐암 완전정복] 폐암의 통합적 암 치료 1, 통합적 암 치료의 필요성
보이지 않는 암세포를 관리하는 통합적 암 치료 남아 있는 암세포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암의 재발을 떨어뜨리는 핵심입니다. 그동안 폐암 치료를 표준의학적 관점에서 소상하게 설명해드렸습니다. 그 이유는 폐암이 암 중에서 가장 복잡하고 다양한 증세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암 치료, 표준치료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그래서 항상 덧셈 치료를 해야 한다는 얘기를 드립니다. 폐암에는 어떤 통합적 암 치료가 필요하며, 왜 통합적 […]
-
[암 치료 QnA] 면역 기능만 좋아지면 암이 치료되지 않을까?
면역치료만으로 암이 낫는다? 현실적으로 불가능 면역 증강으로 암을 고치겠다는 것은 코로나 시대에 면역을 키워서 마스크를 쓰지 않겠다는 것과 똑같은 말입니다. 면역 증강하면 암 치료가 될까? 암을 치료하면서 환자분들이 늘 하는 갈등이 있습니다. ‘면역이 중요하다는데, 내가 면역을 잘 끌어올리면 암이 치료되지 않을까? 그런데 내가 왜 이렇게 힘든 치료를 받아야 하지?’ 이런 유혹을 많이 느낍니다. […]
-
담도암 완전정복, 담도암의 병기와 예후1 – 간내 담도암, 간문부 담도암
암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담도암의 병기 주변 혈관이 침범됐느냐, 안 됐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주변 혈관을 침범하면 혈관을 따라서 암이 빨리 번지기 때문입니다. 담도암의 병기 분류법과 발생빈도 담도암, 병기 분류를 보겠습니다. 담도의 구조가 복잡한 만큼 병기 분류도 엄청 복잡합니다. 담도암 환우라면 한 번 정도는 살펴보면 좋겠습니다. 보통 병기를 가를 때, TNM system을 이용합니다. […]
-
담도암 완전정복, 담도암의 진단1 – 혈액검사
혈액검사로 알 수 있는 담도암 관련 수치들 병원에 가면 이것저것 한꺼번에 검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중에서 담도암을 의심케 하는 검사 수치를 집중적으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담도암의 진단과 검사 담도암의 진단은 발생빈도가 높진 않지만 굉장히 복잡합니다. 가령 위암은 진단 자체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위내시경 하면 거의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대장암 역시 대장 내시경을 하면 […]
-
담도암 완전정복, 담도암의 발생 빈도와 특이점
담도암, 작지만 치명적인 이유 암의 성장 과정 중에 매우 조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담도암입니다. 담도암의 발생빈도, 대부분은 선암 담낭암은 쓸개에 생기는 암이므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반면 담도암은 발생빈도는 높지 않지만, 상당히 복잡합니다. 그러나 담낭과 담도 둘 다 담즙이 움직이고 저장되는 장소라서 묶어서 얘기하곤 합니다. 2017년도에 국가 암 정보센터의 통계에 의하면 담낭, […]
-
종양표지자 수치는 높게 나왔는데 암이 보이지 않는 경우
종양표지자 수치가 높으면 암? 특이도에 따라 달라 종양 지표를 보면 특이도가 높지 않은 검사이므로 이 수치가 높다고 해서 암은 아닙니다. 종양표지자 수치는 참고사항 일반인 분들이 많이 오해하는 내용의 질문입니다. 암 환자의 보호자가 작성하신 질문 댓글입니다. [저희 엄마가 위암 수술을 했는데, 2년 동안 정기검진을 잘 받았습니다. 근데 갑자기 종양 지표, CEA와 CA19-9가 높게 나왔습니다. […]